[뉴스초점] 이례적 '연쇄 무력 도발' 나선 북한…의도는?<br /><br /><br />연일 도발 수위를 끌어 올리는 북한의 의도는 무엇인지 문성묵 한국국가전략연구원 통일전략센터장과 짚어보겠습니다.<br /><br /> 북한이 연일 위협 비행과 대규모 포병 사격을 벌인 데 이어 하루도 안 돼 또다시 무력 도발을 감행했습니다. 모두 390여 발에 이르는 포사격이었죠. 이렇게 동시다발적으로 도발한 것은 이례적인데 어떤 의도라고 보십니까?<br /><br /> 이런 가운데 북한은 인민군 총참모부 대변인 명의의 발표문을 냈습니다. 최근 있던 미사일 도발에 대한 책임을 우리 측에 돌리며 남측의 훈련에 대응하기 위해 무력시위를 벌였던 것이라고 주장했는데요. 일종의 명분 쌓기로 봐야 할까요?<br /><br /> 북한이 포병 사격을 벌인 곳은 북방한계선 NLL 북쪽 해상완충구역입니다. 우리 군은 명백한 9·19 군사합의 위반으로 봤는데요. 일각선 남북 간 합의를 파기하도록 유도하려는 의도 아니냐는 분석도 나오는데요?<br /><br /> 연평도에 북한 포탄이 떨어졌던 2010년 상황이 재연되는 것은 아닌지 우려의 목소리도 적지 않은데요. 재래식 무기로 우리의 특정 지역을 공격하는 등 국지적 도발까지 감행할 가능성도 있다고 보세요?<br /><br /> 북한의 잇따른 도발에 대해 미국 7함대 사령관은 동해에 있던 핵 추진 항공모함 로널드 레이건호가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짜증을 불러일으킨 것 같다고 말했습니다. 김 위원장은 당 창건일 이전까지 한달간 행적을 공개하지 않은 채 훈련을 지휘한 것으로 보이는데, 결국은 지난달 발표한 핵무력 법제화와 실제화라고 볼 수 있을까요.<br /><br /> 북한의 도발 직후 정부는 5년 만에 독자 제재에 나섰습니다. 개인 15명과 기관 16곳을 제재 대상에 올렸고요. 군은 대북 경고 성명을 발표하고 대북 전통문을 발송했는데요. 대응 수위 어떻게 보십니까?<br /><br /> 북한의 거듭된 도발에 9·19 남북군사합의가 기로에 섰습니다. 대통령실은 합의 유지 여부는 '북한의 태도'에 달렸다고 밝혔지만, 일각에선 남북 합의 '무용론'에 이어 '파기론'까지 거론되고 있는데요. 현실적으로 가능한 얘기인가요?<br /><br /> 우리가 남북 합의를 먼저 깨는 건 북한의 비핵화를 압박할 명분을 잃을 수도 있어서 몰아붙이긴 어려울 거란 주장도 있는데요. 그렇다면 앞으로 우리 정부가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요?<br /><br /> 정치권 일각에선 전술핵 재배치를 포함한 핵무장 방안에 대한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. 다만 강대강으로 맞부딪치는 게 북한을 억제할 카드가 될 수 있는지에 대한 고민도 필요할 것 같아요?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